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Chat GPT
- 군집화
- 파이썬
- Clustering
- 결측치제거
- 데이터과학을위한통계
- 결측치
- 레이어2솔루션
- 블록체인
- 이더리움
- 데이터분석
- 블록체인트릴레마
- nft
- 이더
- eda
- 옵티미스틱롤업
- GPT
- 확장성문제
- 영지식롤업
- 데이터전처리
- ptyhon
- 머신러닝
- l2솔루션
- K-Means
- 비탈릭부테린
- 모듈러블록체인
- 결측치처리
- 비지도학습
Archives
- Today
- Total
min
블록체인 확장성 문제와 레이어2 솔루션 본문
본 포스팅은 [블록체인 확장성의 실마리, 레이어2 생태계] 리서치를 읽고 이해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. https://cdn.korbit.co.kr/athena/etc/research/31/korbit_research_2022-08-12.pdf
확장성은 블록체인 대중화의 전제 조건
◆ 확장성 : 네트워크가 트렌젝션 증가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
✅ 정보가 담기는 블록은 희소성을 가진 자원이므로 수요와 공급에 따라 속도와 비용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
Ex) 수많은 금융거래로 이루어진 디파이의 속도 문제
Ex) nft 수요가 몰려 터무니없이 높은 민팅비용
비트코인의 블록 생성은 약 10분마다 이루어지며,
초당 처리 트랜잭션 수(TPS, transaction per second)는 3~7개를 기록하고 있다.
비용 측면을 보면 8월 초 기준 이더리움 네트워크 트랜잭션당 평균 수수료는2~3달러 가량으로
연초 40달러 수준에 비해 낮아졌지만 많은 거래를 수행하기에는 여전히 걸림돌이 된다.
◆ 블록체인 트릴레마 : 탈중앙성, 보안성, 확장성의 3개 요소는 상충관계
✅ 3개 요소 중 2개 요소 확보하면 하나는 버려야 한다는 의미
✅ 보통 탈중앙과 보안을 확보하니 확장성이 낮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
✅ 트릴레마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mass adoption 어려울 것
해결방법 - 모듈러 블록체인
◆ 블록체인의 데이터 처리 과정
- 합의 : 체인 상태 확인, 트렌젝션 순서 정함
- 실행 : 트렌젝션 실행 후 상태 정보 업데이트
- 데이터 가용성 : 모든 노드들 확인하도록 네트워크에 배포
✅ 일반적으로는 이 모든 기능을 한 체인에서 담당하지만 (모놀리식)
서로 다른 체인에서 분담하는 것이 모듈러 블록체인 > 처리 속도, 효율성 증가
모듈화 방식 - 레이어 2 솔루션 (L2)
: 합의와 데이터 가용화는 L1(메인 체인) / 트렌젝션 실행은 L2(메인 체인 외부 별도 체인)
✅ 두개의 체인을 사용하므로 연산량은 낮아지고 합의, 기록은 메인 체인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안성도 유지된다.
✅실행 형태
- 롤업 - 가장 많이 사용, 일반적
- 플라즈마
- 밸리디움
◆ 레이어 2 솔루션 - 롤업 (rollup)
: 트렌젝션 L2에서 실행 후 트렌젝션 정보, 변화된 블록상태값을 배치형태로 압축해 L1에 입력
✅ 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L1에 기록될 값과 실제 트렌젝션 값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증 필요
➡️검증 방식에 따른 분류
1. 옵티미스틱 롤업 (사후 검증)
: 기록 확정 전 이의제기 기간(7~14일)동안 거래 유효성 이의 제기 가능
- 인출 시 대기 기간 필요
- EVM 호환성 > 범용성 확보
- 모든 트렌젝션 검증 x > 롤업 비용 절감
- 검증인들의 경제적 인센티브 > 보안성 확보
2. Zk(영지식) 롤업 (사전 검증)
: 답을 알고 있음을 수학적으로 증명하는 암호화 기술로 보안성 확보, 제출할때마다 검증 후 전송
- 유효성 증명시 검증되므로 즉시 자본 인출 가능
- EVM 지원 x but 개발을 위한 노력중 ..
- 블록마다 검증하는 비용 발생
- 암호학적 연산 > 보안성 확보
'블록체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암호화폐 이더리움의 창시자, 비탈릭 부테린(Vitalik Buterin) 그는 누구인가? (0) | 2023.02.28 |
---|---|
chat gpt와 함께 알아본 nft (정의부터 활용사례까지!) (0) | 2023.02.28 |
Comments